문화원 활동
- 
			
				한국의 신, 마을과 집을 지키다“마을과 집을 지켜온 한국의 신들” 한국의 전통 사회에서 사람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힘이 세상을 움직인다고 믿었습니다. 자연과 마을, 집 안 곳곳에는 신령이 깃들어 있으며, 이 존재들은 사람들의 삶을 보호하고 때로는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신앙은 단순한 미신이 아니라, 공동체의 안녕과 풍요, 그리고 일상의 안전을 지키려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었습니다. 마을 입구에 세운 장승(長生)은 나무나 돌에 새겨 넣은 인상적인 얼굴을 통해 악귀와 재앙을 막아주는 수호신이었습니다. 이렇게 장승은 마을 공동체의 안녕을 기원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주변을 지나는 길손에게는 이정표가 되기도 했습니다. 솟대는 장대 위에 새 모양을 얹은 독특한 신앙물로, 마을 사람들은 이를 통해 풍년과 번영을 기원했습니다. 오리는 하늘과 땅, 물을 넘나드는 상징적 존재로서, 인간 세계와 신의 세계를 이어주는 매개체로 여겨졌습니다. 한편, 집 안에는 가신(家神)이라 불리는 수많은 수호신이 있었습니다. 집의 중심을 지키는 성주신, 아이의 탄생과 성장을 돌보는 삼신, 부엌의 불과 음식을 관장하는 조왕신, 집터를 지키는 터주신, 재물을 불려주는 업신, 심지어 화장실까지 지키는 측신까지 한국의 가정은 신령들의 보호망 안에 있다고 믿었습니다. 오늘날 이러한 신앙은 점차 사라지고 있지만, 장승과 솟대, 가신 신앙은 한국인의 삶과 정신세계가 어떻게 자연과 공동체, 가족의 조화를 추구해 왔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이번 전시는 한국의 독특한 민속 신앙을 통해 “사람과 신령, 그리고 공동체가 함께 만든 삶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전시 기간 및 방문 시간] 전시 기간 : 2025.10.20~11.30 방문 시간 - 월/수 : 10:15 ~ 12:30, 13:00 ~ 17:30 - 화/목 : 09:15 ~ 12:30, 13:00 ~ 16:30 * 방문 시간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방문 전 홈페이지, 인스타그램 또는 페이스북을 확인한 후 방문해주세요. 게시일 2025.10.20.
- 
			
				[하회별신굿탈놀이] 한국인의 마음이 담긴 얼굴, ‘탈’ 행사 기간 2025.09.01. ~ 2025.09.30.🎭한국인의 마음이 담긴 얼굴, ‘탈’ 하회별신굿탈놀이 마을의 평화와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 의식에서 비롯된 한국의 전통 탈춤! 약 500년 전부터 안동 하회마을에서 이어져 내려온 놀이로, 주지승·양반·선비·각시·할미 등 다양한 인물이 등장해 파계승을 풍자하고, 양반을 해학적으로 비웃으며 삶의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각시탈은 성황신을 대신하는 신성한 탈로, 별신굿이 아니면 볼 수 없는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탈춤에 사용되는 하회탈이 궁금하다면? 👉 주폴란드한국문화원 전시에서 직접 만나보세요! 🎨 상시체험: 탈 색칠하기 (방문 전 운영시간을 확인해주세요 🙂) 게시일 2025.09.16.
- 
			
				[양주별산대놀이] 한국인의 마음이 담긴 얼굴, ‘탈’ 행사 기간 2025.09.01. ~ 2025.09.30.🎭한국인의 마음이 담긴 얼굴, ‘탈’ 양주별산대놀이 중부지방을 대표하는 한국의 전통 탈춤! 서울에 본산대가 형성되었고, 양주에 전승되어 뿌리내린 놀이로, 파계승·몰락한 양반·무당·미얄할미 등 다양한 인물이 등장해 춤과 무언극, 익살과 풍자로 관객을 웃게 합니다. 총 8과장으로 구성되어 연극적인 볼거리가 특히 풍부하며, 예로부터 단오·추석 등에 공연되었습니다. 탈춤에 사용되는 탈들이 궁금하다면? 👉 주폴란드한국문화원 전시에서 직접 만나보세요! 🎨 상시체험: 탈 색칠하기 (방문 전 운영시간을 확인해주세요 🙂) 📢 9월 1일(월) ~ 9월 20일(토) 운영 안내 월: 09:15 ~ 12:30, 13:00 ~ 18:30 화/목: 09:15 ~ 12:30, 13:00 ~ 16:30 수: 09:15 ~ 12:30, 13:00 ~ 18:30 금: 13:00 ~ 16:30 토: 12:00 ~ 16:30 게시일 2025.09.09.
- 
			
				한국인의 마음이 담긴 얼굴, '탈' - 작가소개 행사 기간 2025.09.01. ~ 2025.09.30.장진익 Jang Jin-ik 1973년 대한민국 전라북도 순창 출생 장진익은 전통 한지로 만든 연등(燈)을 창작하는 현대 예술가이다. 10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한지를 소재로, 그는 20여 년 넘게 불교적 전통, 자연의 상징성, 그리고 현대적 미학을 결합한 연등 예술을 꾸준히 발전시켜 왔다. 2001년, 그는 한지전통등연구원에 공식적으로 등록된 예술가가 되었으며, 창작 초기부터 한국의 문화유산 보존을 넘어 그 재해석과 세계적 확산을 목표로 삼았다. 2015년, 대한불교조계종 연등회보존위원회 주최로 한국불교박물관 내 나무갤러리에서 첫 개인전 「자연의 빛을 머금다」를 개최하였다. 철사와 한지로 만든 그의 작품은 은은한 빛, 섬세한 질감, 그리고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형상으로 관람객을 매료시켰다. 대표작 중 하나인 「 일상」 연작에서는 참새를 소재로, 소박하지만 아름다운 삶의 상징을 표현하였다. 2017년에는 그의 작품이 미국 포틀랜드 미술관에 소장되었으며, 이후 국제 전시를 통해 세계 각지에서 작품을 선보였다. 2021년에는 한지의 고장 전주에서 전주시 주최로 열린 한지등 특별전에 참여하였다. 2023년에는 특별한 주목을 받았다. 그는 이탈리아에서 열린 「Cosmos of Lights: The Lotus Lantern Festival」 특별전에 초청되어, 로마 콜로세움에서 영감을 얻은 빛의 설치 작품을 선보였다. 2024년에는 두 차례 중요한 해외 전시가 열렸다: • 바르샤바 한국문화원 – 「연꽃과 친구들」이라는 설치 작품을 선보였으며, 전시와 함께 한지꽃 제작 워크숍, 전통 의상과 한국 의례 시연도 함께 진행되었다. • 뉴욕 한국문화원 – 백제 시대의 금동향로에서 영감을 얻은 한지등을 전시하였다. 장진익은 또한 대중적이고 현대적인 조형과 서사를 담은 연등을 제작하여, 예술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폭넓게 다가간다. 현재 그는 한지 연등 현대 예술의 대표적 작가로 평가받으며,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연등회(燃燈會)의 추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축약본: 장진익 (장진익) 1973년 전라북도 순창 출생, 대한민국 장진익은 한국 전통 한지로 연등을 제작하는 예술가이다. 20여 년간 연등 예술을 발전시키며 전통, 자연의 상징, 현대적 미학을 융합하였다. 2001년 한지전통등연구원에 등록된 후, 그의 작품은 한국과 해외에서 전시되었다. 대표적으로 미국 포틀랜드 미술관, 뉴욕 한국문화원, 이탈리아, 폴란드 등에서 선보였다. 그의 작품 세계는 거대한 설치 작품부터 자연과 일상을 주제로 한 섬세한 조형까지 아우른다. 그는 현대 한지 연등 예술의 선도적 작가로 평가되며, 연등회 추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연혁 장진익 (장진익) 1973년 출생, 전라북도 순창, 대한민국 • 2001 – 한지전통등연구원 공식 등록 • 2015 – 개인전 개최 (나무갤러리) • 2017 – 미국 포틀랜드 미술관 소장 (한지등 작품) • 2021 – 전주시 주최 한지등 전시 참가 • 2023 – 이탈리아 연등 특별전 참가 (콜로세움 영감 설치 작품) • 2024 – 폴란드 한국문화원 전시 (「연꽃과 친구들」) • 2024 – 뉴욕 한국문화원 전시 (백제 금동향로 영감 작품) 연등회 추천 예술가 게시일 2025.09.09.
- 
			
				[봉산탈춤] 한국인의 마음이 담긴 얼굴, ‘탈’ 행사 기간 2025.09.01. ~ 2025.09.30.🎭한국인의 마음이 담긴 얼굴, ‘탈’ 봉산탈춤 풍자와 해학으로 가득 찬 한국의 대표 탈춤! 약 200년 전부터 단오에 공연되며, 노장·도련님·사자 등 30여 인물이 등장해 춤과 연극을 펼칩니다. 특히 긴 소매를 휘날리며 추는 역동적인 춤사위가 특징으로, 서민들의 삶과 웃음을 생생히 담아냅니다. 탈춤에 사용되는 탈들이 궁금하다면? 👉 주폴란드한국문화원 전시에서 직접 만나보세요! 상시체험: 탈 색칠하기 🎨 방문 전 문화원 운영시간을 확인해주세요 🙂 📍 주폴란드한국문화원 ul. Leona Kruczkowskiego 8, Warszawa 📢 9월 1일(월) ~ 9월 20일(토) 운영 안내 월: 09:15 ~ 12:30, 13:00 ~ 18:30 화/목: 09:15 ~ 12:30, 13:00 ~ 16:30 수: 09:15 ~ 12:30, 13:00 ~ 18:30 금: 13:00 ~ 16:30 토: 12:00 ~ 16:30 게시일 2025.09.01.